JAVA

[JAVA] 자료형 - 기초형

DJOH 2021. 11. 30. 14:34

 

 

자료형(data type)은 변수에 저장되는 자료의 타입으로

기초형(primitive type)참조형(reference type)의 두 가지 타입의 변수가 있다.

기초형에는 정수형, 실수형, 논리형, 문자형이 있고 변수에 실제 값이 저장되있다.

참조형에는 클래스, 배열, 인터페이스가 있고 변수에 객체의 위치(참조 또는 주소)가 들어가 있다.

 

 

 

기초형(primitive type)

 

분류 데이터형 크기(비트) 기본값 최소값 ~ 최대값
정수형 byte 8 0 -128 ~ 127
short 16 0 -32768 ~ 32767
int 32 0 -2147483648 ~ 2147483647
long 64 0L -9223372036854775808 ~ 9223372036854775807
실수형 float 32 0.0f 약 ±3.4 × 10^-38 ~ ±3.4 × 10^+38 (유효숫자 7개)
double 64 0.0d 약 ±1.7 × 10^-308 ~ ±1.7 × 10^+308 (유효숫자 15개)
문자형 char 16 null '\u0000'(0) ~ '\uFFFF'(65535)
논리형 boolean 8 false 해당 없음

 

 

 

1. 정수형

  • byte : 8비트
  • short : 16비트
  • int : 32비트 (기본)
  • long : 64비트 / 숫자의 끝에 l이나 L을 붙이면 long형 상수가 된다.

  ※ 변수에 범위를 벗어나는 값을 대입하면 컴파일 오류와 실행 오류가 발생한다.

 

① 정수형 상수

int x = 100;

100과 같이 소스 코드에 쓰여 있는 값을 의미

2진수, 16진수, 8진수, 10진수 같이 여러 진법으로 표시 가능

 

② 기호 상수

final double PI = 3.141592;

변수 선언 앞에 변경되지 않는다는 의미의 키워드 final을 붙여서 만들 수 있다.

이름은 모두 대문자로 구분은 밑줄로 한다.

 

 

 

 

2. 실수형

  • float : 32비트 / 숫자의 끝에 f나 F를 붙이면 float형 상수가 된다.
  • double : 64비트 (기본)

 

 

 

 

3. 문자형

  • char : 하나의 문자를 저장할 수 있고 16비트로 표현

 

① 문자형 상수

단일 따옴표를 사용하여 표시

 

※ 특수 문자들(제어 문자들과 출력되지 않는문자들)은 앞에 역슬래시를 사용한다.

표기 의미
\b 백스페이스
\t 수평 탭
\n 새 라인
\' 단일 따옴표
\" 이중 따옴표

 

 

 

 

4. 논리형

  • boolean : true 또는 false 값만 가지며 논리 연산을 수행하는 데 사용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제어문#2 (반복문)  (0) 2021.12.02
[JAVA] 제어문#1 (조건문)  (0) 2021.12.02
[JAVA] 연산자(operator)  (0) 2021.11.30
[JAVA] 자바 프로그램의 구조  (0) 2021.11.26
[JAVA] JDK 설치 및 환경 변수 설정  (0) 2021.1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