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 10

디자인 패턴

디자인 패턴은 소프트웨어 디자인에서 발생하는 일반적인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포괄적으로 설명하는 재사용 가능한 설계 아이디어입니다. 디자인 패턴은 경험적으로 검증된 솔루션을 제공하여 코드를 더 유연하고 재사용 가능하며 유지보수가 쉽도록 만듭니다. 장점 개발자간의 원활한 소통 소프트웨어 구조 파악이 용이 재사용을 통한 개발 시간 단축 설계 변경 요청에 대한 유연한 대처 단점 객체지항 설계에 대한 깊은 이해도가 필요 간단한 문제에 대해 디자인 패턴을 적용하는 것이 오히려 더 복잡하고 비효율적일 수 있습니다. 모든 문제에 대해 디자인 패턴을 적용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습니다. 디자인 패턴은 크게 생성(Creational), 구조(Structural), 행동(Behavioral)이 있습니다. 생성 패턴 생성 패턴(..

JAVA 2023.12.08

Server to Server

💡 RestTemplate 사용 이유 RestTemplate은 Spring Framework에서 제공하는 HTTP 통신을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는 클래스입니다. org.springframework.web.client.RestTemplate 패키지에 존재 합니다. RESTful 웹 서비스와의 통신을 위해 주로 사용되고 기본적으로 동기 방식으로 처리되며, 비동기 방식으로 처리하고 싶을 경우 AsyncRestTemplate를 사용하면 됩니다. 💡 RestTemplate 대표적 메서드 RestTemplate Method HTTP Method 설명 getForEntity GET get 요청을 보내고 ResponseEntity로 응답을 받음 getForObject GET get 요청을 보내고 java object로..

JAVA 2023.11.29

REST API란

1. REST API의 탄생 REST는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라는 용어의 약자로서 2000년도에 로이 필딩 (Roy Fielding)의 박사학위 논문에서 최초로 소개되었습니다. 로이 필딩은 HTTP의 주요 저자 중 한 사람으로 그 당시 웹(HTTP) 설계의 우수성에 비해 제대로 사용되어지지 못하는 모습에 안타까워하며 웹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아키텍처로써 REST를 발표했다고 합니다. 2. REST 구성 쉽게 말해 REST API는 다음의 구성으로 이루어져있습니다. 자원(RESOURCE) - URI 행위(Verb) - HTTP METHOD 표현(Representations) 1) URI는 정보의 자원을 표현해야 한다. (리소스명은 동사보다는 명사를 사용) GET..

JAVA 2023.11.28

URI와 URL

💡 URI (Uniform Resource Identifier) 통합 자원 식별자는 인터넷에 있는 자원을 나타내는 유일한 주소이다. URI는 인터넷에서 요구되는 기본조건으로서 인터넷 프로토콜에 항상 붙어 다닌다. URI의 하위개념으로 URL, URN이 있다. 💡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특정 리소스의 위치를 나타내는 특별한 형태의 URI이며 주소와 같은 역할을 한다. 주로 웹 상에서 사용되며, 특정 자원이 어디에 위치해 있는지 알려준다. 일반적으로 프로토콜, 호스트명, 파일 경로등을 포함한다. 💡 URL의 형태 scheme://:@:/? 예시 : 'https://www.exaple.com/indext.html' 프로토콜 : 웹 브라우저가 서버와 내용을 주고받을 때 사용할 규..

JAVA 2023.11.26

[JAVA] 제어문#2 (반복문)

제어문(control statement) 조건에 의해 문장의 실행 순서를 변경하는 문장 반복문 : 조건이 유지되는 한 또는 정해진 횟수만큼 처리를 되풀이하는 문장 for 문 - 정해진 횟수만큼 반복하는 경우 while 문 - 미리 반복 횟수를 알 수 없고 조건에 따라서 반복하는 경우 1. while 문 조건식이 참이면 문장들의 블록을 반복적으로 실행 while (조건식) { 반복문장 } 조건식이 true이면 조건식이 false로 계산될 때까지 반복문장을 실행을 계속한다. 예제 // 사용자가 입력한 단수의 구구단을 출력 // 입력 예) 3 // 출력 예) 3 * 1 = 3 ... import java.util.Scanner; class Guguda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

JAVA 2021.12.02

[JAVA] 제어문#1 (조건문)

제어문(control statement) 조건에 의해 문장의 실행 순서를 변경하는 문장 조건문 : 조건에 따라서 여러 개의 실행 경로 가운데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경우에 사용 if-else 문, switch 문 1. if 문 if-else 문 if ( 조건식 ) 문장1; // 조건식이 true면 실행 else 문장2; // 조건식이 false면 실행 조건식이 true이면 문장1(then 절)이 실행되고 false면 문장2(else 절)가 실행된다. 조건 연산자(? :) ( 조건식 ) ? true일 때 실행할 식 : false일 때 실행할 식 System.out.println(grade >= 60 ? "합격" : "불합격"); // 60점 이상이면 합격을, 60점 미만이면 불합격을 출력 중첩 if 문 if..

JAVA 2021.12.02

[JAVA] 연산자(operator)

연산자(operator) 연산자(operator) : 특정한 연산을 나타내는 기호 피연산자(operand) : 연산의 대상 1. 대입 연산자 x = 10; // 상수 10을 변수 x에 대입한다. 대입 연산자(=)는 완쪽에 있는 변수에 오른쪽에 있는 수식의 값을 계산하여 대입 2. 산술 연산자 연산자 기호 의미 덧셈 x+y x와 y를 더한다. 뺄셈 x-y x에서 y를 뺀다. 곱셈 x*y x와 y를 곱한다. 나눗셈 x/y x를 y로 나눈다. 나머지 x%y x를 y로 나눌 때의 나머지값 3. 단항 연산자 연산자 의미 +x x를 양수로 만든다. -x x를 음수로 만든다. ++x x값을 먼저 증가한 후에 다른 연산에 사용한다. 이 수식의 값은 증가된 x값 x++ x값을 먼저 사용한 후에 증가한다. 이 수식의 값은..

JAVA 2021.11.30

[JAVA] 자료형 - 기초형

자료형(data type)은 변수에 저장되는 자료의 타입으로 기초형(primitive type)과 참조형(reference type)의 두 가지 타입의 변수가 있다. 기초형에는 정수형, 실수형, 논리형, 문자형이 있고 변수에 실제 값이 저장되있다. 참조형에는 클래스, 배열, 인터페이스가 있고 변수에 객체의 위치(참조 또는 주소)가 들어가 있다. 기초형(primitive type) 분류 데이터형 크기(비트) 기본값 최소값 ~ 최대값 정수형 byte 8 0 -128 ~ 127 short 16 0 -32768 ~ 32767 int 32 0 -2147483648 ~ 2147483647 long 64 0L -9223372036854775808 ~ 9223372036854775807 실수형 float 32 0.0f..

JAVA 2021.11.30